"지자체 금고 쟁탈전, 금융권의 새 격전지로 부상하다"
- newsg1g1
- 4일 전
- 2분 분량
최근 금융권의 경쟁 구도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의 예산과 기금을 관리하는 금고 운영권을 두고 주요 시중은행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단순한 예금 유치 경쟁을 넘어, 지방자치단체와의 장기적 협력관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승부가 한창이다.

부천시의 2금고 입찰을 둘러싼 국민은행과 기업은행의 대결은 이러한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국민은행이 기존 금고지기 자리를 지키기 위해 나섰고, 기업은행은 새롭게 도전장을 내밀며 금융판도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단순히 부천시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미 지난해 경기도, 부산시, 광주시 등 주요 광역지자체에서도 유사한 경쟁이 벌어졌고, 앞으로도 이 같은 금고 전쟁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지자체 금고 운영은 은행 입장에선 매력적인 사업 영역이다. 수조 원대의 예산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예치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대규모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 단순히 예금 이자 수익 외에도 지자체와 연계한 금융상품 공급, 공공기관 및 공무원 대상 금융 서비스 확대, 지방사업 금융 지원 등 다양한 부가수익이 따라온다. 한 번 금고 운영권을 확보하면 장기간 거래 기반이 마련되므로 은행의 입장에선 놓칠 수 없는 기회다.
하지만 이런 치열한 경쟁 속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과도한 출연금과 지원 약속이 은행의 수익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몇 년 사이 출연금 규모는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기존보다 두세 배 가까이 치솟았다. 은행들은 입찰에서 높은 출연금을 제시해 금고 운영권을 확보하지만, 장기적으로 이를 어떻게 수익으로 전환할지는 숙제로 남는다.
지자체 입장에서는 출연금 증액이 단기적 재정 여력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지나친 경쟁을 유도할 경우 오히려 금융시장의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출연금이 과도하게 책정되면 향후 은행의 상품·서비스 질 저하나 대출 심사 강화 등 부작용이 나타날 여지가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전문가들은 보다 공정하고 투명한 금고 선정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은행 간 경쟁은 앞으로도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지방 재정의 규모가 커지고, 금리 인상기 속에서 예금 유치 경쟁이 격화되면서 지자체 금고는 금융권의 핵심 전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지방은행과 특수은행의 적극적인 참여로 기존 시중은행 중심의 구도가 점차 다변화되고 있다. 기업은행의 이번 부천시 도전은 이런 변화의 시작일 뿐일 수 있다.
향후에는 단순한 출연금 경쟁이 아닌, 지자체와의 상생 방안, 공공금융 역할 강화, 디지털 금융 인프라 제공 등 보다 다양한 경쟁 요소가 입찰 평가에 반영될 가능성도 크다. 결국 누가 지자체의 재정 운용 파트너로서 더 높은 신뢰를 얻느냐가 승부를 가를 핵심 기준이 될 전망이다.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