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 모션의 미학’, 스타일리시 액션의 부활 인디게임 *메모리 리프렉션*
- newsg1g1
- 6월 26일
- 2분 분량
하이퍼리얼한 총격과 슬로 모션의 잔상, 그리고 한 편의 누아르 영화 같은 분위기를 한 번에 즐기고 싶다면 최근 스팀에서 출시된 인디 액션 게임 *메모리 리프렉션*이 제법 괜찮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 블랙 수트를 입은 정체불명의 주인공이 기억을 잃은 채 눈을 뜨는 장면으로 시작하는 이 게임은 단순한 슈팅이 아닌, 시간과 공간, 감정을 액션에 담아낸 독특한 접근으로 게이머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 있다.

게임의 기본 구조는 3인칭 시점의 액션 슈팅이지만, 단순한 적 제거에 그치지 않는다. 플레이어는 매 스테이지에서 ‘기억 조각’을 수집해야 하며, 각 조각은 주인공의 과거 단편을 보여주는 짧은 컷신이나 대사로 구성된다. 즉, 액션 그 자체가 스토리텔링 수단이 되는 구조다. 주인공의 움직임에는 가속과 감속의 리듬이 있고, 총 한 발을 쏠 때도 타이밍과 위치에 따라 기억 조각이 달라지는 등 다회차 플레이를 유도하는 설계가 인상적이다.
특히 ‘기억 속으로 잠입’하는 특수 스킬은 게임의 핵심 재미 중 하나다. 특정 순간마다 화면이 블루 톤으로 전환되며 적의 동선과 대사를 역추적할 수 있는데, 이때 슬로 모션 상태에서만 사용 가능한 특수 액션이 해금된다. 벽을 뛰어넘어 총을 빼앗고, 바닥을 미끄러지며 동시에 두 명을 제압하는 등 영화에서나 보던 장면을 직접 연출할 수 있는 자유도가 높은 점도 강점이다.
‘시간 조작’이라는 요소가 많은 게임에서 활용됐지만, *메모리 리프렉션*은 단순히 시간을 느리게 만든다는 개념을 넘어 ‘기억을 재구성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를 시도한다. 예를 들어, 실패한 플레이가 단순 리셋으로 끝나지 않고, 기억의 왜곡으로 스테이지 내 일부 배치가 바뀌거나 적이 예측 불가능한 행동을 하도록 만든다. 즉, 리트라이 자체도 하나의 스토리로 흡수된다.
비주얼 측면에서도 언급할 부분이 많다. 그래픽 자체는 인디게임 특유의 간결한 스타일을 유지하지만, 라이트와 쉐도우의 사용, 그리고 연출 효과는 AAA급 게임 못지않은 몰입감을 제공한다. 특히 총격전 중 튀는 탄피, 부서지는 오브젝트, 흔들리는 카메라워크는 다소 과장되어 있지만, 의도된 ‘영화적 연출’로 받아들여지며 오히려 게임의 스타일을 강화시킨다.
정식 출시 이후 유저 평가는 ‘매우 긍정적(1,200명 참여, 94% 긍정적)’으로, 단점보다는 실험적인 시도와 감각적인 연출을 높이 평가하는 분위기다. 커뮤니티 내에서는 “게임을 하는 게 아니라 영화를 편집하는 느낌”, “소름 돋는 감정선과 타격감의 조화”라는 평가도 눈에 띈다. 다만 일부 유저는 조작의 딜레이나 특정 구간의 불친절한 설명에 아쉬움을 표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 게임의 가장 큰 매력은 ‘자기만의 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같은 미션이라도 어떤 기억 조각을 먼저 찾느냐에 따라 적의 배치나 게임의 리듬이 달라지고, 무기 선택이나 움직임의 우선순위에 따라 전투 결과가 다채롭게 펼쳐진다. 단순히 총을 쏘는 게임이 아니라, ‘무엇을 왜 쐈는가’를 되돌아보게 만드는 점이 독특하다.
결국 *메모리 리프렉션*은 단순한 액션 게임이 아니다. 화려함에 집중한 슈팅 액션의 껍데기 속에 정체성, 기억, 복수, 그리고 감정이라는 테마를 정교하게 숨겨둔, 일종의 감성 누아르 작품이다. 플레이어는 자신이 조각낸 기억을 통해 하나의 이야기를 완성해 나가게 된다. 조용하지만 강렬한 액션, 직선적이지만 복합적인 구조. 그것이 이 게임이 ‘존 윅 시뮬레이터’가 아닌, 독립적인 정체성을 지닌 액션 게임으로서 주목받는 이유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