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게임 속 또 다른 얼굴, 버튜버는 왜 점점 많아지는 걸까?

  • newsg1g1
  • 6월 26일
  • 2분 분량

게임 속 세계는 점점 더 현실과 닮아가고 있습니다. 단순히 조작하는 캐릭터를 넘어서, 이제는 게임의 '얼굴'이 되어 유저들과 직접 소통하는 버추얼 유튜버, 일명 ‘버튜버(VTuber)’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죠. 단순한 홍보 수단이 아니라, 유저들과의 ‘관계’를 만들어가는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창구로 진화하고 있는 겁니다.



ree

이제는 단순한 게임 소개 영상이나 트레일러만으로는 유저들의 관심을 끌기 어렵습니다. 유튜브나 트위치 같은 실시간 스트리밍 플랫폼에서는 '인간미'와 '소통력'이 핵심 콘텐츠로 자리잡았고, 기업들도 이런 흐름에 자연스럽게 편승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변화는 게임사가 직접 만든 오리지널 캐릭터 버튜버를 커뮤니티 매니저로 활용한다는 점입니다.


버튜버가 유저들에게 특별하게 다가가는 이유는 바로 ‘가까움’입니다. 사람이 아니라 가상 캐릭터이기 때문에 오히려 거리감 없이 다가갈 수 있습니다. 생방송 중에 게임 플레이를 보여주기도 하고, 때로는 유저 질문에 실시간으로 답하기도 합니다. 이벤트를 소개할 땐 장난스럽고, 업데이트 안내 때는 진지하게 설명하는 식이죠. 다양한 표정과 말투, 연기력으로 캐릭터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그 자체로 ‘팬덤’도 형성됩니다.


이러한 흐름은 특히 일본에서 두드러집니다. 일본은 원래부터 버튜버 문화가 강한 나라입니다. 캐릭터 소비 문화가 발달했고, 팬들이 ‘가상의 존재’를 실제처럼 응원하고 후원하는 데 익숙하죠. 따라서 일본 시장을 공략하는 글로벌 게임사들은 자연스럽게 ‘현지화된 버튜버’를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냥 현지 언어로 말하는 수준이 아니라, 현지 유저의 문화와 유머코드를 이해하는 버튜버가 필요한 겁니다.


이런 시도는 단순한 마케팅 그 이상입니다. 팬들에게는 ‘나만의 친구 같은 존재’가 되고, 게임사는 유저의 목소리를 더 가까이서 듣는 창구를 얻게 됩니다. 버튜버가 진행하는 설문이나 이벤트는 참여율이 높고, 댓글 반응도 훨씬 활발합니다.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은 물론이고, 게임 세계관에 대한 의견, 심지어 캐릭터에 대한 애정 어린 제안도 실시간으로 오갑니다.


다만 이 모든 것이 ‘성공’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철저한 기획과 운영이 필요합니다. 버튜버 캐릭터 자체의 매력도 중요하지만, 이를 연기하는 실질적인 운영자의 역량도 필수입니다. 방송 스크립트를 어떻게 쓰는지, 커뮤니티에서 어떤 주제를 꺼낼지, 콘텐츠 방향성은 어떻게 잡을지까지 섬세한 전략이 동반되어야만 오래 사랑받는 캐릭터로 자리잡을 수 있습니다.


버튜버는 단순한 홍보모델이 아닙니다. 게임의 감정을 대변하고, 유저의 감정을 포착하는 ‘소통의 화신’입니다. 사람보다도 더 사람 같은 존재가 되어, 가끔은 웃음을 주고 때로는 감동을 안기는 이 가상 캐릭터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유저와 게임의 연결고리를 단단히 이어주고 있습니다.


결국 게임도, 커뮤니케이션도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리고 그 마음을 얻는 방식이 점점 더 창의적이고, 입체적으로 변하고 있다는 점에서 ‘버튜버’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장기적인 전략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댓글


bottom of page